지식의 힘

CBDC vs USDC: 중앙은행이 밀리고 있는 이유 본문

지식in

CBDC vs USDC: 중앙은행이 밀리고 있는 이유

나에게 던지는 물음 2025. 6. 30. 23:26

CBDC vs USDC: 중앙은행이 밀리고 있는 이유

전 세계 중앙은행들은 지난 수년간 디지털 통화, 즉 CBDC(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개발에 사활을 걸었습니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2025년 현재 세계 시장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디지털 달러는 미국 연준이 아닌 민간 기업 Circle이 발행한 USDC입니다.

왜 중앙은행은 디지털 통화의 주도권을 놓치고 있는 걸까요? 이번 글에서는 CBDC 개발 현황, 기술적 한계, 정치적 장애물과 함께 USDC가 어떻게 실사용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지를 심층 분석합니다.


1. CBDC는 왜 필요했는가?

중앙은행이 CBDC를 추진한 명분은 분명했습니다:

  • 현금 사용 감소 → 디지털 대체 필요
  • 민간 암호화폐 확산에 따른 통화정책 통제력 약화 방지
  • 글로벌 결제 경쟁력 확보 (특히 중국 위안화 기반)

그러나 2020~2023년 사이 수십 개 국가에서 시범 도입됐던 CBDC는 대부분 채택률 저조, 기술 불안정, 소비자 거부감으로 이어졌습니다.


2. CBDC의 문제점: 이상은 좋았으나 현실은 냉혹

① 실사용성 부족

  • 지갑 설치, 인증, 정부 ID 연동 등 사용 장벽 존재
  • 기존 모바일 결제보다 UX 열등

② 사생활 침해 우려

  • 중앙은행이 개인 거래를 실시간 추적할 수 있다는 비판
  • ‘감시 화폐’라는 이미지로 인한 국민 저항

③ 기술적 제약

  • 국가별 독자 인프라 → 글로벌 확장성 제한
  • 토큰형 vs 계좌형 모델 선택 혼선

결국 CBDC는 대부분 ‘파일럿’ 단계에 머물며 정식 채택은 지연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 중국 디지털 위안 – 지방 테스트 집중, 사용률 저조
  • 미국 – FedNow는 구축됐으나 CBDC는 미확정
  • 유럽 – 디지털 유로, 법안은 통과했지만 소비자 저항 존재

3. 반면, USDC는 어떻게 승리하고 있는가?

① 실사용 중심 전략

  • 미국 달러 기반으로 글로벌 거래소, DeFi, 결제망에 이미 통합
  • 기업·개인 모두 쉽게 사용 가능 (월렛 불필요)

② 규제 친화적 민간 모델

  • Circle은 NYDFS 인가, 미국 국채 기반 준비금, 감사 보고서 제공
  • 중앙은행 수준의 신뢰 + 민간의 빠른 실행력

③ 글로벌 확장성

  • Cross-Chain Transfer Protocol (CCTP)을 통한 체인 간 이동성 확보
  • Visa, Stripe 등 글로벌 결제 인프라와 연결

결국 시장은 느린 정부보다, 빠르고 신뢰 가능한 민간 솔루션을 선택하고 있는 셈입니다.


4. 투자자 관점: CBDC의 실패는 USDC의 기회

① USDC는 ‘디지털 달러 ETF’ 역할

  • 1:1 달러 가치 고정 + 국채 이자 수익 간접 포함
  • 자산보존 + 현금흐름 수단으로 동시 활용

② 기관 채택 가속화

  • CBDC의 불확실성 → 기관들은 이미 USDC를 선택 중
  • BlackRock, Goldman Sachs, Citi 등 투자 및 인프라 연계 강화

③ 결제 인프라의 패권 이동

  • Visa, Mastercard, Shopify 등의 글로벌 결제 업체들이 USDC 지원
  • CBDC보다 앞선 실사용 기반으로 디지털 결제 시장 재편

5. 향후 전망: 공공과 민간의 협업, 또는 충돌?

중앙은행은 완전히 물러나지 않을 것입니다. 앞으로는 다음 두 가지 흐름이 공존할 것으로 보입니다:

① 협업 모델 (Hybrid CBDC)

  • 중앙은행이 인프라 제공, 민간이 프론트엔드 서비스 담당
  • ‘USDC + CBDC 계좌 연동’과 같은 모델 현실화

② 경쟁 모델

  • 정치적으로 민간 스테이블코인 견제
  • CBDC를 통한 금융 통제 강화 시도

하지만 글로벌 시장에서는 이미 ‘신뢰 가능한 민간 스테이블코인 우위’가 뚜렷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6. 결론 – 승자는 민간의 빠른 실행력

CBDC는 이론적으로 완벽하지만, 현실은 느리고 비효율적입니다. 반면 USDC는 민간의 빠른 혁신, 투명한 회계, 실사용 기반으로 디지털 머니의 주도권을 실질적으로 장악하고 있습니다.

2025년 현재, ‘중앙은행이 디지털 통화를 통제할 것’이라는 가정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습니다. 통화의 미래는, 규제 속에 빠르게 움직이는 민간 플랫폼이 주도하게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