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전고체 배터리
- #샤오펑 #고가ev
- #미국국채 #탈달러 #외환보유고
- #구글반독점 #재판패소 #검색생태계변화 #시리즈
- #디지털 제약사
- #구글반독점 #패소가남긴의미 #누구의선택 #시리즈마무리
- #구글반독점 #패소 #검색스타트업 #시리즈
- #구글반독점 #재판패소 #시리즈 #규제흐름
- #eidas 2.0 #인증주권
- #byd도전 #중국의테슬라 #세계1위
- #관세꼬임
- #전기차충전소 #스마트사업
- #ev의 심장
- #구글반독점 #재판패소 #검색엔진 #시리즈
- #장기성장산업 #투자는신중
- #소프트웨어 회사
- #국가의 책무 #did
- #구글패소 #반독점 #글로벌 규제 #시리즈
- 한국ev산업 #향후과제
- #초고율관세 #태양광
- #우회전략
- #유럽 ev의 견제
- ai신약개발 #바이오산업
- 구글반독점 #시리즈 #검색의왕 #미어와의관계
- #중국ev견제
- #전기차충전인프라 #투자시기 #투자기회
- #nio의 도전 #배터리교환 시스템 #또다른테슬라의 도전
- #구글반독점 #재판패소 #시리즈
- #최종승자누구?
- #구글반독점 #시장점유 #클라우드삼국지 #시리즈
Archives
- Today
- Total
지식의 힘
Web3 금융의 심장, 온체인 신용시장의 탄생 본문
Web3 금융의 심장, 온체인 신용시장의 탄생
탈중앙 금융(DeFi)은 담보를 전제로 작동했습니다. 그러나 진정한 금융은 ‘신용’ 위에서 작동합니다.
이제 블록체인 위에 신용이 올라옵니다. 지갑 활동, 온체인 기록, 탈중앙 신원(DID), 소셜 신호가 하나의 온체인 신용 프로파일로 집약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온체인 신용의 구조와 그로 인해 열리는 차세대 금융 인프라의 가능성, 그리고 투자자와 정책 입장에서의 함의를 심층 분석합니다.
1. 전통 신용 vs 온체인 신용
구분 | 전통 신용 시스템 | 온체인 신용 시스템 |
---|---|---|
기반 정보 | 소득, 직장, 금융사 기록 | 지갑 주소, 트랜잭션 이력, 참여 DAO, NFT |
주체 | 신용평가기관 (e.g. 나이스, FICO) | 분산형 데이터 프로토콜, 온체인 분석 |
범위 | 국가 중심, 폐쇄형 | 국경 초월, 글로벌 개방형 |
온체인 신용은 탈중앙·개방형·자기주권적 금융으로의 진화를 가능케 합니다.
2. 온체인 신용의 구성요소
① 온체인 행동 이력
- DeFi 사용 기록 (대출, 상환, 청산)
- 토큰 보유 기간, NFT 구매·판매 이력
- 스테이킹·거버넌스 참여
② 소셜 그래프
- ENS, Lens, Farcaster 등에서의 활동
- DAO 내 평판, 커뮤니티 기여도
③ DID(탈중앙 신원)
- Worldcoin, Polygon ID, Gitcoin Passport 등
- 신원 인증을 거친 지갑은 신뢰 점수 상승
④ 신용 프로토콜의 등장
- Goldfinch – 신용 기반 대출
- Spectral – 지갑 기반 신용점수 (MACRO score)
- TrueFi – KYC 기반 무담보 대출 시장
3. 온체인 신용의 기회
① 무담보 대출 시장의 확대
- 기존 DeFi는 담보가 있어야만 대출 가능
- 온체인 신용 기반 대출은 실물 경제로 확장 가능
② 개발도상국의 금융 접근성
- 은행 계좌 없이도 지갑 기반 신용 형성
- 신흥국에서 새로운 금융 접근 창출
③ RWA(실물자산) 투자 확대
- 온체인 신용을 담보로 실물 자산 대출 가능
- 부동산, 채권, 수익권 등의 토큰화와 연계
4. 규제와 리스크
① 개인정보 보호와 DID
- 지갑 기록이 곧 개인 신용 → 프라이버시 문제
- 자기주권 신원(DID)을 활용한 신뢰도 향상
② 사이빌 공격과 조작 방지
- 여러 지갑으로 점수 세탁 시도 가능성
- Zero-Knowledge Proof 기반 신원 확인 기술 도입
③ 규제 기관의 입장
- 미국 SEC, FATF: ‘온체인 신용’도 금융정보로 간주 가능성
- KYC/AML 요구 증가 → 분산 ID 기술이 해답
5. 투자자와 창업자가 주목해야 할 영역
- 온체인 신용 인프라 스타트업: Spectral, Arkham, Masa 등
- DeFi 대출 프로토콜의 진화: 담보→신용 전환
- RWA+신용 결합: Ondo, Centrifuge 등
- Web3 신용카드 모델: 지갑 점수로 결제 한도 설정
이 생태계는 단순히 금융을 디지털화하는 것이 아니라,금융 접근의 정의 자체를 재설계하고 있습니다.
6. 결론 – 신뢰는 코드 위에서 다시 태어난다
Web3에서의 금융은 더 이상 “담보가 있느냐”가 아니라, “신뢰를 어떻게 증명하느냐”가 핵심입니다.
온체인 신용은 다음을 가능케 합니다:
- 은행 없는 무담보 대출
- 지갑 하나로 형성되는 신뢰
- 국경과 언어, 제도를 넘는 자금 접근
이제 신용은 기관이 판단하지 않습니다. 코드, 기록, 커뮤니티가 평가하는 시대입니다.
신용은 탈중앙화되고 있으며, 그것이 Web3 금융이 심장을 가지는 순간입니다.
'지식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테이블코인과 국가: 공존인가, 충돌인가? (1) | 2025.07.02 |
---|---|
국가 없는 금융: DAO와 탈중앙 자본주의의 부상 (1) | 2025.07.02 |
금융은 더 이상 은행의 것이 아니다: 탈중앙 금융이 바꾸는 세 가지 질서 (0) | 2025.07.02 |
디지털 머니 블록의 미래: 스테이블코인은 어떻게 금융질서를 재편하는가 (0) | 2025.07.02 |
스테이블코인 전쟁: USDC vs USDT vs CBDC (1) | 2025.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