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전기차충전소 #스마트사업
- #구글반독점 #패소가남긴의미 #누구의선택 #시리즈마무리
- ai신약개발 #바이오산업
- #관세꼬임
- #nio의 도전 #배터리교환 시스템 #또다른테슬라의 도전
- #구글반독점 #재판패소 #시리즈
- #장기성장산업 #투자는신중
- #구글반독점 #시장점유 #클라우드삼국지 #시리즈
- #구글반독점 #재판패소 #검색엔진 #시리즈
- #ev의 심장
- #중국ev견제
- #byd도전 #중국의테슬라 #세계1위
- #우회전략
- #eidas 2.0 #인증주권
- #구글반독점 #재판패소 #시리즈 #규제흐름
- #국가의 책무 #did
- 한국ev산업 #향후과제
- #최종승자누구?
- #전기차충전인프라 #투자시기 #투자기회
- #구글패소 #반독점 #글로벌 규제 #시리즈
- #디지털 제약사
- #미국국채 #탈달러 #외환보유고
- #초고율관세 #태양광
- #샤오펑 #고가ev
- 구글반독점 #시리즈 #검색의왕 #미어와의관계
- #유럽 ev의 견제
- #구글반독점 #재판패소 #검색생태계변화 #시리즈
- #전고체 배터리
- #소프트웨어 회사
- #구글반독점 #패소 #검색스타트업 #시리즈
- Today
- Total
지식의 힘
기후금융 – 탄소 리스크가 돈이 되는 구조 본문
기후금융 – 탄소 리스크가 돈이 되는 구조
2025년 현재, 전 세계 금융시장은 단순한 수익률 중심에서 벗어나, 기후위기 대응 능력과 지속가능성을 새로운 가치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바로 이러한 흐름의 중심에는 기후금융(Climate Finance)이라는 새로운 구조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1. 기후금융이란 무엇인가?
기후금융은 온실가스 감축, 기후변화 적응, 친환경 전환을 위한 프로젝트 및 기업에 자금을 공급하는 금융 체계입니다. 이는 단순한 ESG 개념을 넘어, 탄소 리스크를 자산 가치에 통합하는 새로운 투자 패러다임을 의미합니다.
2. 왜 ‘탄소’가 금융의 언어가 되었는가?
- 탄소 배출 = 비용: 각국이 탄소세 도입 및 배출권 거래제를 강화함에 따라, 기업의 탄소 배출량은 직접적인 비용이 됩니다.
- 평가모델의 변화: 국제회계기준(IFRS), 글로벌 지속가능성 기준(GSSB)은 기업의 ‘기후위험 공시’를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 규제 리스크 vs 기회 자산: 고탄소 산업은 투자 기피 대상이 되는 반면, 재생에너지·전기차·탄소저감 기술은 오히려 프리미엄을 받습니다.
3. 글로벌 기후금융 흐름
① 탄소 회피 자산(Divestment) 전략 가속화
블랙록(BlackRock), 노르웨이 국부펀드, 칼퍼스(CalPERS) 등 글로벌 자산운용사들은 석탄·원유·고탄소 산업에서 자금을 철수하고, 저탄소·그린 자산으로 리밸런싱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② 녹색채권(Green Bond)과 전환채권(Transition Bond)
- 녹색채권: 태양광, 풍력, 수소, 전기차 등 친환경 프로젝트 전용 채권
- 전환채권: 고탄소 기업이 점진적으로 탈탄소화를 추진하는 데 필요한 자금 조달 채권
③ 탄소배출권 시장 확대
EU의 탄소배출권(ETS)은 톤당 100유로에 근접하며, 기업 실적과 직결되는 자산이 되었습니다. 한국도 K-ETS 시장을 통해 배출권 거래가 활성화되고 있으며, ‘탄소 중립 이행 비용’이 재무 리스크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4. 투자 전략으로서의 기후금융
① 수혜 섹터
- 재생에너지: 태양광, 풍력, ESS 등은 기후금융 자금의 직수혜
- 탄소 포집 및 저장(CCUS): 탄소 감축 솔루션 기업들 급부상
- 클라이밋 테크 스타트업: AI 기반 탄소추적, 저탄소 물류, 기후 리스크 분석 SaaS 등
② 주목할 기업 및 펀드
- Brookfield Renewable: 수력·태양광 중심의 기후 인프라 기업
- NextEra Energy: 미국 최대 재생에너지 발전 기업
- Climate Action 100+: 글로벌 기후금융 연합 펀드
③ 한국 시장 내 흐름
- 한화솔루션: 태양광, 수소 인프라 중심으로 글로벌 녹색자금 유입
- LG화학: 탄소 저감형 배터리 소재 중심의 ESG 채권 발행
- SK E&S: 탄소포집 및 블루수소 중심으로 기후금융 접근 강화
5. 기후위기 → 규제 → 자산 재평가의 연쇄
투자자들은 이제 단순히 매출이나 PER만을 보는 것이 아닙니다. 그 기업이 탄소에 얼마나 노출되어 있는지, 기후 리스크에 얼마나 민감한지에 따라 **자산 평가의 기준**이 바뀌고 있습니다. 이는 특히 다음과 같은 경로로 전개됩니다:
- 기후규제 강화 →
- 배출 많은 기업의 비용 증가 →
- 수익성 하락·투자기피 →
- 시가총액 하락 및 금융위험 확산
결론: 기후는 금융 리스크이자, 투자 기회다
기후금융은 단순한 유행이 아니라, 자산 가격의 구조 자체를 변화시키는 메가트렌드입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누가 기후 리스크를 줄이고, 기후 기회를 선점하는가’가 미래 수익률을 결정짓는 핵심 기준이 됩니다.
탄소는 이제 숫자가 아니라 가격이며, 위험이 아니라 전략입니다.
제 글이 공감되신다면 공감 꾹! 구독 꾹! 부탁드려요~^^
'지식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식량 – 배양육과 곤충, 새로운 단백질 전쟁 (3) | 2025.06.02 |
---|---|
극한 환경 기술 – 사막·해수·빙하도 농지가 되는 시대 (8) | 2025.06.02 |
농업 바이오 기술 – 가뭄·염분·기후 적응형 작물의 부상 (1) | 2025.06.02 |
수자원 기술 산업 – 담수화·재이용 시장의 폭발적 성장 (3) | 2025.06.02 |
스마트팜·식물공장 – 미래 농업의 기술 혁신과 투자처 (1) | 2025.06.02 |